2022년 12월 30일에 방학한 초등학생과 함께 도서관에 가서 빌려온 미움받을 용기 1,2

약 8년 전 처음 이 책이 나왔을 당시 읽은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지금 읽는 저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된 듯하고요.

 

출간 당시에도 엄청난 인기로  51주 연속 베스트셀러에 올라와 있던 이 도서는 저의 삶에 파고들지 못했습니다.

읽어도 그냥 글자만 읽었던 느낌이었고, 이후 제 삶은 변하지 않았으니까요.

그 무렵 출산 이후 글로 육아를 배운 저에게 지난 8년간 읽기가 어느 정도는 생활의 일부가 되었어요.

2023년 1월 1일부터 다시 펼쳐본 이 책은 곳곳에서 제 흥미를 끌었고, 계속 생각에 잠기게끔 해주었지요.

 

그렇게 미움받을 용기 1,2 시리즈를 모두 읽고 나서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첫째 아이 18개월 때 처음 구입했던 자연관찰전집이 떠올랐어요.

다른 건 너무나도 잘 보는데 유독 이것에만 손이 가지 않아 성격 급한 엄마는 2년 후 중고로 팔아버리고 말았죠.

좋아하는 책으로 읽기 능력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상태에서 어려웠던 책을 봤을 때 달라진 느낌을 그때 알았더라면 어땠을까 싶었어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은 것이겠지요?

 

 

 

 

트라우마란 존재하지 않는다.

'원인론'과 '목적론'은 다르다.

원인론을 맹신하면서 사는 한, 우리는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아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

생활양식을 바꾸려고 할 때, 우리는 큰 '용기'가 있어야 한다.

변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을 선택할 것이냐, 변하지 않아서 따르는 '불만'을 선택할 것이냐.

불행한 것은 과거의 환경 탓이 아니다.

그렇다고 능력이 부족해서도 아니고, 그저 '용기'가 부족한 것뿐이다.

말하자면 '행복해질 용기'가 부족한 것.

 

 

용기 부여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일단 '지금의 나'를 받아들이고, 결과가 어떻든지 간에 앞으로 나아갈 용기를 갖게 하는 것.

 

 

누군가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다른 사람이 협력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당신과는 관계없습니다.
당신부터 시작하세요.
다른 사람이 협력하든 안 하든 상관하지 말고.

 

 

종교 vs 철학

최대의 차이점은 '이야기'의 유무

신은 세계를 설명하는 커다란 이야기의 주인공.

그에 반해 철학은 이야기를 거부하고, 주인공이 없는 추상의 개념을 통해 세계를 설명하려고 함.

 

 

철학

어원인 그리스어로 '필로소피아(philosophia)'는 '지혜를 사랑한다'라는 의미.

즉 철학이란 '지혜를 사랑하는 학문'이고

철학자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

 

모든 지혜를 다 알고 완전히 지혜로운 자가 되면 그 사람은 이미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이 아니므로

근대철학의 아버지인 칸트는 "우리는 철학을 배울 수 없다. 철학하는 것을 배울 뿐이다"라고 말했다.

 

 

 

 

'특별할 것 없는 하루하루'가 인생의 시련이다

상대방의 생각 전부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해할 수 없는 존재로서의 타인을 믿는 것이 신뢰.

우리 인산은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믿을 수밖에 없다.

 

 

 
미움받을 용기
어릴 때부터 성격이 어두워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언제까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때문에 전전긍긍하며 살아야 할지, 그는 오늘도 고민이다. 이런 그의 고민에 “인간은 변할 수 있고, 누구나 행복해 질 수 있다. 단 그러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한 철학자가 있다. 바로 프로이트, 융과 함께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알프레드 아들러다. 『미움받을 용기』는 아들러 심리학에 관한 일본의 1인자 철학자 기시미 이치로와 베스트셀러 작가인 고가 후미타케의 저서로, 아들러의 심리학을 ‘대화체’로 쉽고 맛깔나게 정리하고 있다. 아들러 심리학을 공부한 철학자와 세상에 부정적이고 열등감 많은 청년이 다섯 번의 만남을 통해 ‘어떻게 행복한 인생을 살 것인가’라는, 모두가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렸다. 첫 번째 밤부터 다섯 번째 밤까지의 순서로 진행되는 동안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는 점점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며 재미를 더한다. 특히 철학자의 주장에 이어지는 청년의 반박은 공감대를 한껏 불러일으킨다. 여기에 시대를 읽는 유쾌한 문화심리학자이자 《남자의 자격》, 《에디톨로지》의 저자 김정운 교수가 감수를 맡아 내용의 깊이까지 더해졌다.
저자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
출판
인플루엔셜
출판일
2014.11.17
 
미움받을 용기 2
역대 최장기간 베스트셀러 1위, 문화계 파워 100인이 선정한 2015년 올해의 책, 네이버 2015년 검색어 책 분야 1위 등 2015년을 ‘아들러’와 ‘용기’ 열풍으로 물들인 『미움받을 용기』가 더욱 새롭고, 강렬한 내용으로 돌아왔다. 그렇다고 이 책을 그저 ‘속편’이라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저자 기시미 이치로가 “전작이 아들러 사상을 개관하기 위한 ‘지도’였다면, 2권은 아들러의 사상을 실천하고 행복에 이르는 길을 걷도록 알려주는 ‘나침반’과 같은 책”이라고 밝혔듯, 각 권은 ‘하나의 완결된 책’이기 때문이다. 전작에서 다섯 번의 철학자와의 만남을 통해 ‘어떻게 행복한 인생을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청년. 그로부터 3년 후, 청년은 ‘중대한 고민’으로 다시 철학자의 서재를 찾는다. 그것은 바로 ‘아들러 심리학을 현실에 적용하는 문제’였다. 이에 철학자는 ‘사랑과 자립’이라는 주제로 청년에게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제시한다. 단, “하룻밤 만에 끝내자”는 청년의 요청에 따라 전편보다 더 숨 가쁘게 깊이 있고 뜨거운 논박을 펼쳐내어 독자들을 이야기에 빠져들게 만든다. 그렇다면 ‘사랑과 자립’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바로 ‘교육’이다. 아들러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부모의 도움이 없이는 살 수 없기 때문에 ‘타인 의존적’이고 ‘사랑받고 싶은 욕구’에 시달린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의존성’을 벗어나 ‘사랑하고 자립하고 인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육’이라고 생각했다. 여기서 ‘교육’이란 가정과 사회에서 행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이제, 아들러가 말하는 교육을 통해서 사랑도 인생도 ‘스스로 선택할 용기’를 가질 차례이다. 이 책이 도와줄 것이다.
저자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
출판
인플루엔셜
출판일
2016.05.02

 

 

교육자로서 칭찬도 야단도 모두 오직 인간으로서 존경을 하며 믿는 것만이 가능하다는 것.

 

'나쁜 놈'과 '불쌍한 나' 사이에 우리가 바라보아야 할 것은 오직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그동안 육아가 어려워 책을 읽었고, 할 수 있는 것이 그뿐이라 읽어싶었던 것만 읽었던 사람이다.

그런데 몇 년 만에 이 책을 보니 어디서 다 들어본 이야기들이고, 왜 이해가 되는 것이며 이렇게 흥미로울 수가!

아들리언으로서 이 책을 몇 번씩 보시는 분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조만간 중고매장에서 다시 구입해할 듯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바로 여기! 바로 지금!

특별할 것 없는 하루를 모두가 믿어주며 살아가며 그 인간관계 속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

+ Recent posts